생활

지하철 방향 소리로 아는 방법

Minam 2018. 12. 8. 16:14

멀리서 들리는 지하철 도착 소리!!!


내가 가는 방향의 지하철일 것 같아 열심히 뛰었더니 반대 방향의 지하철이라 당황했던적이 한두 번이 아닐 텐데요.


지하철이 도착하는 소리가 들릴 때 뛰어야 하는 경우와 여유를 가져야 할 경우를 소리로 아는 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지하철은 상선과 하선으로 나누어지는데요


보편적 느낌인 남에서 북으로 가는 지하철을 상선


원으로 생각하면 윗변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아랫변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가는 지하철을 상선


반대의 방향을 하선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허접하지만 아래의 그림을 보시면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겁니다.














중요한것은 이때 도착하는 지하철 진입음이 상선과 하선이 다른데요!!


먼저 들어 보시죠!




상선




하선




상선의 경우 벨 소리가 하선의 경우 나팔 소리가 납니다. 


이것을 잘 숙지하신다면 자신이 가야 할 방향의 지하철이 어떤 소리를 내며 진입하는지 알고 대비하실 수 있겠죠?







상선과 하선 방향은 아래에 좀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호선 


 - 인천역이나 광명역에서 소요산역 쪽으로 가는 지하철 (상선)


 - 소요산역에서 인천역 쪽으로 가는 지하철 (하선)



2호선 순환구조 (노선도에서 시계 반대 방향의 지하철을 외선, 시계방향의 지하철을 내선)


 - 내선(노선도상 시계 방향으로 가는 지하철)을 상선

 

 - 외선(노선도상 시계 반대 방향으로 가는 지하철)을 하선



3호선


 - 수서역에서 대화역 쪽으로 가는 지하철(상선)


 - 대화역에서 수서역 쪽으로 가는 지하철(하선)



4호선 


 - 오이도역에서 당고개역 쪽으로 가는 지하철(상선)


 - 당고개역에서 오이도역 쪽으로 가는 지하철(하선)



5호선


 - 상일동,마천역에서 방화역 쪽으로 가는 지하철(상선)


 - 방화역에서 상일동,마천역 쪽으로 가는 지하철(하선)



6호선 


 - 봉화산쪽에서 응암역 쪽으로 가는 지하철(상선)


 - 응암역에서 봉화산 쪽으로 가는 지하철(하선)



7호선 


 - 온수역에서 장암역 쪽으로 가는 지하철(상선)


 - 장암역에서 온수역 쪽으로 가는 지하철(하선)



8호선


 - 모란역에서 암사역 쪽으로 가는 지하철(상선)


 - 암사역에서 모란역 쪽으로 가는 지하철(하선)



9호선


 - 중앙보훈병원에서 개화역 쪽으로 가는 지하철(상선)


 - 개화역에서 중앙보훈병원 쪽으로 가는 지하철(하선)


나머지 분당선과 중앙선도 같은 원리입니다. ^^




이제 소리만 듣고 멋있게 뛰어서 지하철에 탑승하고


반대 방향일 경우 여유 있고 우아하게 지하철 계단을 내려가시면 됩니다.